생활 정보 / / 2023. 5. 24. 15:09

서울시 청년 이사비 지원사업 (중개보수, 이사비) 신청 안내

 서울시에 거주하시는 청년들을 위한 서울시 청년 이사비 지원사업 신청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이사와 관련된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에 들어간 비용을 최대 40만 원까지 지원받으실 수 있으니 참고하셔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청년 이사비 지원사업이란?

 

 이사가 잦은 청년의 주거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서울시에서 지원해 주는 지원사업입니다. 정식 명칭은 '청년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사업'이며 부동산 중개보수와 같이 이사에 필요한 금액을 생애 1번 최대 40만 원까지 지원해 드립니다.

* 단, 이사에 관련된 비용이 40만 원 미만인 경우 해당 금액까지만 지원됩니다.

 

지원 대상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50% (건강보험료 본인 부담금)
가구원 수 월 소득 기준 건강보험료 본인 부담금
직장 가입자 지역 가입자
1인 가구 3,117,000 111,677 50,654
2인 가구 5,185,000 183,861 142,142
3인 가구 6,653,000 237,913 206,359
4인 가구 8,102,000 291,898 273,699

 2022년 11월 17일(2023년 기준) 이후 서울시로 전입 또는 서울시 내에서 이사 후 전입신고 한 만 19~39세 무주택 청년이 서울시 청년 이사비 지원사업 지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단,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건강보험료 본인 부담금 기준)이면서 거래금액 2억 원 이하 전·월세 거주하시는 분들에 한해 지원됩니다.

 

※ 거래금액 = 임차보증금 + (월세액 X 100)
예시) 보증금 1억에 월세 50만 원의 경우
1억 원 + (50만 원 x 100) = 1억 5천 만 원 (지원 대상 포함)

 

 또한, 동거인(부모, 배우자, 형제, 자매 등)이 있어도 지원받으실 수는 있습니다. 단, 여기서 세대주 그리고 임대차 계약서상 임차인이 신청자(청년)인 경우에만 이사비 지원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서울시 청년 이사비 지원사업 지원 제외 대상자

1. 타 기관에서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을 받은 경우
2. 부모님 소유 주택에 임차한 경우
3. 기초생활 수급자 중 생계·의료·주거 급여 수급자인 경우
4. 기타 사업 취지에 부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신청 방법

 

 

청년-몽땅-정보통-홈페이지-서울시-청년-이사비-지원사업-신청-화면

 서울시 청년 이사비 지원사업 신청을 위해서는 청년 몽땅 정보통(youth.seoul.go.kr) 홈페이지에 바로 가기를 통해 접속합니다. 홈페이지 '주거' 메뉴 중 '주거비 지원' 탭에서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 메뉴를 클릭합니다.

 

 해당 메뉴에 접속하시면 해당 연도 서울시 청년 이사비 지원사업 신청 기간을 확인하실 수 있으며 신청 기간 내에 '신청하기' 버튼을 통해서 이사비 지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선정 결과는 해당 연도 선정 기간에 청년 몽땅 정보통 홈페이지 마이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서울시 청년 이사비 지원사업 제출 서류 안내

1. 주민등록 등본
2. 가족관계 증명서
3. 임대차 계약서 사본(이사할 집)
4. 이사비 지출 증빙서류 (이사 업체에 증빙서류 요청)
5. 지방세 세목별 미과세 증명서
6. 보호종료 아동확인서(해당자에 한함 / 아동복지 시설 또는 가정위탁지원센터에 요청)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