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정보 / / 2022. 10. 5. 12:26

전기요금 복지 할인 대상자 및 신청 방법 안내

 오늘은 전기요금 복지 할인을 받을 수 있는 대상자와 전기요금 할인 신청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최근 전기요금이 인상되면서 저소득층 부담이 늘어나게 되었는데 올해까지 복지 할인 지원 금액이 늘었으니 참고하신 후 복지 할인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전기요금 복지 할인

 

 사회적으로 보호가 필요한 저소득층, 장애인 등의 과도한 전기요금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서 주거용 전력에 대해 전기요금 할인을 해주는 제도입니다. 올해(2022년)는 전기요금 인상으로 인해 한시적으로 복지 할인 지원 금액이 확대되었으니 참고하신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전기요금 할인 지원 내용

 

 

지원 대상자

구분 내용
장애인, 상이유공자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장애인 복지법), 국가유공자 1~3급 상이자, 5.18 민주유공자 1~3급 상이자
독립 유공자 독립유공자 및 그 유족 또는 가족 중에서 독립유공자증 소지자
기초생활 수급자 기초생활 수급자 중 생계, 주거, 의료, 교육 급여를 지원받는 자
차상위 계층 주택 - 자활근로를 조건으로 생계급여를 받는 사람
-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별표 2 제3호 라목에 해당하는 사람
- 장애수당, 장애아동수당·보호수당을 지원받는 사람
- 한부모 가족
- 우선돌봄 차상위
심야  차상위 계층
대가족 가구원 수가 5인 이상인 가구(주민등록표 기준)
다자녀 자녀의 수가 3인 이상인 가구
생명유지장치 호흡기 장애 또는 희귀 난치성질환으로 산소발생기 또는 인공호흡기와 같은 생명유지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가구
출산 가구 출생일로부터 3년 미만인 영아를 키우는 가구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 사업법에서 정한 복지시설

 

전기요금 할인 혜택

대상자 구분 전기요금 할인
기타 계절 여름(6~8월)
장애인, 상이유공자, 독립 유공자 주택용, 일반용 월 16,000원 한도 월 2만 원 한도
기초생활 수급자 생계, 의료 급여 일반 주택 월 19,000원 한도 월 2만 원 한도
주거, 교육 급여 월 1만 원 한도 월 12,000원 한도
심야 갑 31.4%, 을 20%
차상위 계층 주택용, 일반용 월 8천 원 한도 월 1만 원 한도
심야 갑 29.7%, 을 18%
다자녀, 대가족, 출산가구(3년 간) 주택용 30% (월 16,000원 한도)
생명유지장치 30%
사회복지시설 주택용, 일반용
심야 갑 31.4%, 을 20%

 

※ 2022년 한시 할인 한도 확대

기간 장애인, 유공자, 기초생활 수급자(생계, 의료) 기초생활 수급자(주거, 교육) 차상위 계층 대가족, 다자녀, 출산가구
2022년 10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6,000원 → 22,000원 1만 원 → 14,000원 8,000원 → 11,000원 16,000원 → 22,000원

 

 

전기요금 할인 신청 방법

 

 

한전-사이버-지점-홈페이지
한전 사이버 지점

 전기요금 할인 신청을 위해서는 한전 사이버 지점(cyber.kepco.co.kr) 홈페이지에 바로 가기를 통해 접속하셔야 합니다. 사이버 지점 메인 메뉴 '복지할인 신청 모음' 메뉴를 클릭하셔서 전기요금 할인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요금-할인-신청
전기요금 할인 신청 화면

 자신이 해당되는 전기요금 할인 신청을 클릭하시면 상세한 신청 방법과 제출 서류 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서류를 준비하신 후 아래 '신청' 버튼을 클릭하여 전기요금 할인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인터넷 사용이 어려우신 경우 한국전력공사 지점을 방문, 우편, FAX를 통해서도 전기요금 할인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문의가 있으시다면 한국전력공사(☎ 123) 대표 번호를 통해서 문의하시면 되겠습니다.

 

▼ 참고하면 좋은 정보

 

종합소득세 환급금 조회 및 기한 후 신고 방법

한부모가정 지원금 및 혜택 안내

 

 오늘은 저소득층을 위한 한전 전기요금 복지 할인 대상자와 신청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위의 정보 참고하신 후 전기요금 할인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